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평가판 신청
- 이셋 리눅스 파일 시큐리티
- AV-Comparatives
- 평가판
- VB100
- 이에스티씨
- 기업 보안
- 이셋 파일 시큐리티
- Google Chrome
- ESET File Security
- 기술지원
- ESET File Security for Linux server
- ESET Internet Security
- 인텔 CPU
- why Eset
- 30 Years
- ESTC
- 가상화폐
- 랜섬웨어
- 네트워크타임즈
- cleanup
- GROWTH STAR
- 관제서비스
- 이셋코리아
- ESET NOD32
- ESET
- llinux
- ESET Endpoint Antivirus
- 이셋
- Ransomeware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안드로이드 (1)
STORY IN ESET
유럽의 엔드포인트 보안 전문 업체 ESET(이셋)의 국내 대표 법인 이셋코리아(http://www.estc.co.kr)는 2017 년 한 해 동안의 안드로이드용 랜섬웨어 활동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고 전했다. 2017 년은 의심의 여지없이 랜섬웨어의 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. 전세계 기업 및 개인 사용자는 페트야 또는 워너크라이와 같은 대규모의 램섬웨어 공격에 시달려야 했으며, 그 피해는 수십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. 그러나 안드로이드용 악성코드 제작자 또한 새로운 수익원을 찾고 있기 때문에 PC 용 랜섬웨어 만이 피해를 입힌 것은 아니다. 장애인의 장치 이용을 돕기 위해 설계된 안드로이드의 접근성 서비스를 악용하는 사례는 안드로이드용 랜섬웨어가 포함하는 가장 교활한 기능 중 하나였는..
ESET NEWS
2018. 2. 22. 19:51